Loading [MathJax]/jax/output/CommonHTML/jax.js

[Bayesian Network] 2-1. D-separation

2021. 7. 27. 11:46Preliminary/Probability

이번 글에서는 확률 그래프 모델에서 확률변수들 간의 독립, 종속 관계를 알아볼 수 있는 D-separation 성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[관련 글] [Bayesian Network] 2. 조건부 독립ConditionalIndependence


결합 확률분포를 통해 확률변수들 간의 독립, 종속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서는 어떤 변수를 주변화marginalize하여 알아볼 수 있습니다. 하지만, 복잡한 결합 확률분포의 경우, 여러 변수들 간의 종속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.

방향성을 가진 그래프의 경우, 각 노드에서의 관계를 파악하여, 우리가 관심 있는 노드들이 조건부 독립인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. 각 노드들이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지면 D-separated이라고 말합니다.

1 A, B 경로의 화살표가 head-to-tail 또는 tail-to-tail이고, 사이의 노드 중 일부가 C노드 집합에 있을 경우

2 A, B 경로의 화살표가 head-to-head이고 사이의 노드 중 일부가 C노드 집합에 없을 경우

여기서 A, B 노드 집합은 우리가 관심 있는 노드들의 집합이고, C노드 집합은 관찰된 변수의 집합을 말합니다. 그리고 사이의 노드라는 것은 자식descendant 노드를 말합니다.

다음 예시를 통해 D-separate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(a)그림을 보겠습니다.

a에서 b로의 경로는 노드 f에 의해 차단되지 않습니다. 그 이유는 f노드는 tail-to-tail이고,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$C$입니다.

a에서 b로의 경로는 노드 e에 의해 차단되지 않습니다. 그 이유는 e노드는 head-to-head이고 관찰되지 않았지만, c가 관찰되었기 때문$C$에 독립이 성립하지 않습니다.

따라서, ab | c입니다.

(b)그림을 보겠습니다.

a에서 b로의 경로는 노드 f에 의해 차단됩니다. 그 이유는 f노드는 tail-to-tail이고, 관찰되었기 때문입니다.

a에서 b로의 경로는 노드 e에 의해 차단됩니다. 그 이유는 e노드는 head-to-head이고 관찰되지 않았고, e의 자식 노드인 c노드도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

따라서, ab | c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