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E/NodeJS(2)
-
[NodeJS] Get, Post의 특징
들어가기 NodeJS에서 라우팅을 get 방법으로 받을 수도 있고, post 방법으로 받을 수도 있다. 이것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아래와 같이 3000번 포트, '/form'라우팅을 이용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제출하는 웹페이지가 있다고 가정하자. '/form' 웹페이지에서 제출 버튼을 누르면 '/form_receiver' 웹페이지로 라우팅된다. ID를 입력하세요. PASSWARD를 입력하세요. Get get을 이용하여 라우팅 하는 경우의 코드는 아래와 같다. app.get('/form_receiver', function(req, res){ var id = req.query.id; var passwd = req.query.passwd; res.send(id + ',' + passwd); }) '..
2023.12.21 -
[NodeJS] 동기와 비동기 작업
웹, 앱 어플리케이션에 익숙하지 않으면 동기, 비동기 작업은 익숙치 않은 개념입니다. 동기와 비동기 작업에 대해 코드로 살펴보고 넘어가겠습니다. 먼저 동기(Synchronous) 작업은 이전의 작업이 끝나면 그 다음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을 말합니다. 예제 코드는 아래와 같습니다. console.log(1); var data = fs.readFileSync('data.txt'); consol.log(data); 위 코드를 실행하면 파일을 읽은 후에 읽어진 데이터가 로그에 찍히게 됩니다. 동기 작업의 장점은 순차적으로 실행하기 때문에 작업의 순서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는 것입니다. 하지만, 데이터를 읽는 시간이 오래걸리는 경우, 그 다음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단점이 존재합니다. 비동기(Asynchronous)..
2023.12.20